본문 바로가기

행정자치부 소셜미디어 기자단/소셜미디어 기자단 생생현장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원조를 주는 나라로...' 기록으로 보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재건에서 성장·발전까지

-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 누리집, '기록으로 보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공개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광복 70주년을 맞아 1962년 1인당 91달러이던 국민소득을 2014년 28,180달러로 300배 이상 증가시킨 1950~1990년대 경제개발계획을 담은 '기록으로 보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자료를 11일부터 국가기록원 누리집 홈페이지 (http://www.archives.go.kr)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빈민국이 반세기만에 국민총생산 세계 13위의 경제강국으로 발전시킨 우리나라 경제발전사를 한눈에 확인해 보실까요?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 누리집 - 기록으로 보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 누리집 바로가기!


가난을 벗어나기 위한 국민들의 단결된 의자와 노력을 담은 경제개발계획의 주요 내용과 관련 기록 549건을 연계한 서비스로  대한민국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담고 있습니다. 광복 이후부터 1990년대까지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실상을 시기별 연표, 주요 통계, 차수별 비교표 등을 곁들여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경제개발계획의 추진성과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5개 주제 (국제원조, 수출증대, 산업발전, 국토건설, 저축장려) 를 주요이슈로 선정하여 관련 기록을 연게하여 보여주고 있습니다. 



경제개발계획 수립 이전 경제자립을 위한 첫걸음으로 자립경제의 토대확립과 기반 조성을 위한 다양한 준비가 진행되었습니다. 경제원조협정 체결, 산업부흥 4개년 계획, 경제안정 15원칙 발표, 산업개발위원회 설치, 외자도입촉진법 제정 등 경제 활성화를 위한 체계적인 준비가 이루어졌습니다. 



제1차 경재개발 5개년 계획(1962-1966) 시기에는 국가 자주경제 재건에 총력을 다했습니다. 산업구조 근대화, 자립경제의 확립을 더욱 촉진하기 위해 식량자급, 공업구조 고도화의 기틀마련, 7억불 수출 달성, 획기적인 국제수지 개선의 기반 확립, 고용증개, 인구팽창 억제, 국민소득의 획기적 증대, 과학 및 경영기술 진흥, 인적자원 배양을 중점과제로 삼았습니다. 



제 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67-1971) 시기에는 산업구조를 근대화하고 자립경제의 확립 촌직을 위해 준비되었습니다. 산업구조 근대화, 자립경제의 확립을 더욱 촉진하기 위해 1차와 연속성을 가진 계획으로 다져나갔습니다. 식량자급, 산림녹화와 수산개발, 화학, 철강 및 기계공업을 건설하여 공업 고도화의 기틀 마련, 7억불 (상품 수출 550백만 불)의 수출 달성, 획기적인 국제수지 개선의 기반 확립, 고용을 증대, 가족게획의 추진으로 인구팽창을 억제, 국민소득의 획기적 증대, 영농을 다각화하여 농가소득 향상에 주력, 과학 및 경영기술 진흥, 인적자원을 배양하여 기술수준과 생산성 제고에 주력했습니다. 



제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72-1976) 시기에는 성장, 안정, 균형의 조화를 통한 자립적 경제구조 구축이 진행되었습니다. 자립적 경제구조 달성, 지역개발의 균형을 위해 주곡 자급, 농어민 소득 증대, 농어촌 생활환경 개선, 수출 35억불 달성, 공업의 고도화, 과학기술의 향상과 인력개발, 사회기초시설의 균형 발전, 지역개발 촉진, 공업과 인구를 적정히 분산, 국민의 복지와 생활향상을 위해 진행되었습니다. 



제4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77-1981) 시기에는 성장, 형평, 능률의 이념 하에 자력성장구조 확립과 국민복지 향상이 진행되었습니다. 자력성종구조의 확립, 사회개발을 통하여 형평을 증진, 기술의 혁신과 능률의 향상을 위해 투자재원의 자력 조달, 국제수지의 균형, 산업구조의 고도화, 1차적 소득분배 개선과 2차적 소득분배 개선을 위한 제도 마련, 농어촌 생활환경개선 사업 지속, 새로운 기술도입과 토착화 촉진, 연구개발 투자 증대, 노사협조체제 강화, 공정한 경쟁질서 확립, 수입자유화 추진, 기업의 경영합리화가 진행되었습니다. 



제5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82-1986) 시기에는 안정, 능률, 균형으로 사회개발이 추진되었습니다. 경제안정 기반을 정착하여 국민생활 안정, 경쟁력 강화 국제수지 개선, 지속적 성장기반을 다져 고용기회 확대, 소득 증대, 소득계층간, 지역간 균형발전으로 국민 복지 증진을 위해 물가를 10% 이내로 안정시키기 위해 구조적인 인플레 요인을 정비, 7-8%의 지속적인 성장 달성을 위해 투자효율 극대화 및 저축 증대, 경쟁을 촉진하여 시장기능을 활성화, 수출주도전략을 지속하고 대외개발정책 적극추진,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비교우위산업 육성, 국토의 균형 개발과 환경 보전, 국민의 기본 수요를 충족시키고 사회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했습니다.



제6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87-1991) 시기에는 능률과 형평을 토대로 한 경제선진화와 국민복지 증진이 이루어졌습니다. 경제사회의 제도발전과 질서의 선진화, 산업구조의 개편과 기술입국의 실현, 지역사회의 균형발전과 국민생활의 질적 향상을 위해 추진되었습니다. 



제7차 및 신경제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92-1997) 시기에는 21세기 경제사회 선진화와 통일 대비 경제 건설이 진행되었습니다. 산업의 경쟁력 강화, 사회적 형평 제고와 균형 발전, 국제화, 자율화의 추진과 통일기반 조성이 준비되었습니다. 


5년마다 경제개발이 철저하게 준비되어 왔었지요~ 91달러이던 국민소득이 300배 이상 증가하여 지금의 대한민국이 될 수 있었던 밑거름 이었습니다. 물론 못한일도 있었지만 그런 과정을 거쳐 지금의 대한민국이 되었다는건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광복70주년의 의미를 돌아보다. 대한민국 경제개발 주요이슈!


가난의 굴레를 벗어나 비약적인 경제성장을 이룩하는데 크게 기여한 경제개발계획 주요이슈는 총 5가지입니다. 국제원조, 수출증대, 산업발전, 국토건설, 저축장려를 통해 국민 총생산 세계 13위의 경제 강국으로 성장하게 되었습니다. 



국제원조



수출증대



산업발전



국토건설



저축장려


광복70주년을 기념하여 우리경제가 어떻게 변해왔는지 객관적이고 생생한 정보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우리 국민의 저력을 돌아 볼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