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행정자치부 소셜미디어 기자단/소셜미디어 기자단 생생현장

'들쑥날쑥’ 주차장·공원정보, 표준형 정보로 쏙쏙!

 

'들쑥날쑥’ 주차장·공원정보, 개방표준 만든다.

- 3만개 주차장, 2만개 도시공원 데이터의 개방표준 제정

 

 

 

도시공원에 차를 가지고 갈 경우, '주차장은 어디있을까?' '주차요금은 얼마일까?'  인터넷을 검색해 보게 되는데요.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에서 주차장 정보를 검색해보면, 주차장 정보가 지자체별로 형식, 내용 등이 제각각 다르게 개방되어있어, 이용이 불편했습니다.

 

공공데이터포털(Data Portal)이란?

공공데이터의 효율적 제공을 위해 구축된 통합제공시스템으로 대한민국 국가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공공데이터를 국민에 개방하여 이를 편리하고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습니다.

(공공데이터포털사이트 : www.data.go.kr)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전행정부는 10월 15일, 전국의 주차장과 도시공원의 명칭, 위치, 시설현황 등 상세 정보를 규정한 ‘공공데이터 개방 표준’을 만들어 고시하고, 연내 30개, 2017년까지 100개의 표준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앞으로 전국 주차장과 주거지 인근 도시공원 등 생활편의시설에 관한 정보가 보다 알기 쉽게되는건데요. 예를 들어, 주차장 관리번호를 만들어 번호만 봐도 주차장이 어디에 있는지, 민영인지, 공영인지도 알 수 있게 되는것이지요. 개방표준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은요.


① 주차장 : 운영시간, 요금 등 32개항목 개방 표준화

 

지금껏 공영주차장 정보는 요금, 운영시간, 요일제 등 우리에게 밀접한 필수 정보가 없는 경우가 많았는데요. 앞으로는 주차유형, 운영시간, 요금 등을 포함한 32개 항목을 개방하도록 표준화됩니다.

 

주차장명, 주차장 구분, 주차장 유형, 우편번호 및 주소, 주차단위 구획수, 급지구분, 요일제 구분, 운영요일, 경도, 위도를 비롯하여 평일 시작, 종료시각, 주말 및 공휴일 시작, 종료시각과 요금정보, 주차기본시간, 추가단위시간 및 요금, 1일, 월정기권 요금 및 결제방법까지 알 수 있게 되는건데요. 특기사항으로 경차와 장애인차량의 할인율 뿐만 아니라, 데이터 기준일자를 표시하여 정보의 정확성 또한 높여줍니다. 정말 편리하겠죠?

 

이를 통해, 인터넷 지도에 표준화된 전국 주차장 정보가 표시되고, 네비게이션 등 위치기반 서비스와의 융복합도 촉진될 전망입니다.

 

 

예시> 주차유형 : 노상, 노외, 부설 / 운영시간 : 평일, 공휴일 / 요금 : 기본, 추가, 1일, 월정액


 

② 도시공원 : 유형, 소재지, 각종 시설 등 18개 항목 개방 표준화

 

도시공원 또한 제공정보가 면적, 시설 수 등에 그쳐 활용하기 어려웠는데요. 앞으로는 유형, 소재지, 각종 시설  등 18개 항목으로 표준화됩니다. 이로써 시민들의 접근성과 편의성이 높아지고, 부동산 및 시설업계에서도 사업적으로 정보를 활용하기가 훨씬 편리해 질 것으로 보입니다.

 

예를 들어, 관리번호로 관리하여 지역별 구분을 시작으로 주소 및 우편번호, 위도, 경도, 면적 등의 일반 정보를 비롯하여 공원보유시설(운동, 유희)에 대한 정보,  화장실, 매점 등의 편의시설이 있는지 교양시설로 식물원, 야외 음악당, 체험장이 있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자료만 봐도 공원의 규모와 이용정보를 얻을 수 있어 실생활에도 유용하겠네요.

 

 

예시>  유형 : 어린이, 근린, 역사 등 / 각종 시설 : 운동장, 동·식물원, 야외음악당 등


 

표준에 따라 주차장 및 도시공원 정보가 동일하게 개방돼, 자료를 찾고 활용하는 과정에서 겪는 불편함이 줄어들고,이로써 전국 단위의 신규 서비스 창출을 위한 기반이 마련될것으로 보이는데요. 또한,  '글’, ‘엑셀’ 등 특정 소프트웨어가 없어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오픈포멧(CSV, XML 등)’ 형식으로 개방 될 예정입니다.


이외에도, 어린이 보호구역, CCTV 설치현황 등 국민 생활·안전과  문화관광, 환경, 재해안전, 보건복지, 국토교통, 공공정책, 교육, 농업축산 등 분야의 밀접한 데이터를 중심으로 연말까지 30개,  2017년까지 100개의 표준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공공정보는 단순히 많이 개방하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국민과 기업이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것이 중요한데요. 공공이 보유한 정보를 개방하기 위한 표준이 단계적으로 마련되어 이용이 편리해 질것으로 예상합니다. 이로 인해, 민간에서도 공공정보를 활용한 창업 및 서비스 개발 또한 한층 많아지겠죠? 표준화된 공공정보가 우리 실생활에서 편리하고 유익하게 이용되기를 기대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