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살아보세’라는 구호로 잘 알려진 새마을운동이 전 세계 개발도상국에서 새로운 한류(韓流)로 떠오르고 있다. 1970~1980년대 한국의 산업화에 크게 기여한 새마을운동을 배우기 위해 아시아·아프리카 개발도상국이 앞다퉈 몰려오고 있는 것이다. 물량 위주의 단순 원조와 달리 현지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주민 참여형 개발 운동인 새마을운동은 공적개발원조(ODA)의 새로운 모델이 되고 있다.
◆직접원조 대신 마중물 역할
우간다 수도 캄팔라에서 자동차로 한 시간 거리에 있는 키테무 마을. 주민들은 흡연과 도박으로 시간을 보냈고, 밤에는 생계를 위해
도둑질을 일삼았다. 이 마을은 5년 전 새마을운동중앙회의 지원을 받아 진입도로 400m가 포장되면서부터 작은 변화가 일기
시작했다. 주민들은 한국에서 온 전문인력의 도움을 받아 스스로 상수관을 건설했고, 종잣돈을 모아 마을은행을 설립했다. 한때 범죄
소굴이었던 이 마을은 현재 우간다의 대표적인 농촌 성공모델로 손꼽힌다.
아돌프 음웨시게 우간다 지방정부부 장관은
21일 경기 성남시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에서 열린 ‘제1회 지구촌 새마을지도자대회’에서 이 같은 새마을운동의 성공 사례를 소개했다.
지구촌 새마을지도자대회는 전 세계 새마을운동 현장지도자와 개발 전문가들이 각국의 현장 경험을 공유하는 행사로, 올해 처음
개최됐다.
이번 행사에는 개발도상국 새마을운동 지도자와 고위 공무원, 전문가 등 40여개 나라에서 450여명이
참석했다. 주요 8개국(G8)이 지난해 아프리카에 지원한 ODA 규모는 500억달러에 달한다. 최근 30년간 기준으로는
수천억달러에 이른다. 하지만 대부분 아프리카 국가는 빈곤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개발도상국 공무원들은
“기존 ODA 방식이 개발도상국의 자율 의지를 해치고 원조 의존성만 키웠다”고 지적했다.
새마을운동은 빈곤 극복을 위해 기술 전수와 의식 개혁을 우선시한다는 점에서 기존 ODA 방식과 차별화된다. 심윤종 새마을운동중앙회장은 “개발도상국 현지 주민들이 직접 근대화에 나설 수 있도록 도와주는 ‘마중물’”이라고 강조했다.
◆지구촌 새마을 14개국에 조성
정
부가 새마을운동 세계화에 착수한 지는 8년째다. 새마을운동의 본거지인 경상북도는 2005년부터, 안전행정부와 새마을운동중앙회는
2009년부터 ‘지구촌 새마을운동’이라는 이름을 걸고 세계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가 추진하는 새마을운동 세계화는
‘시범마을 조성’과 ‘지도자 위탁교육’으로 구분된다.
안행부는 2009년부터 새마을운동중앙회를 통해 38개국 794명을 초청해 연수교육을 했다. 시범마을은 이달 초 기준으로 미얀마, 몽골, 탄자니아, 우간다, 에티오피아 등 14개국 41곳에 조성됐다. 시범마을 한 곳에 들어가는 예산은 2000만~3000만원 정도다. 도로와 상수도 건설 등의 단순 물량 원조와 달리 새마을운동 전문인력이 현지에 파견돼 주민들과 함께 사업을 추진하는 방식이다. 지난해엔 미얀마와 외국 정부와는 최초로 새마을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미얀마 정부가 테인 세인 대통령을 중심으로 새마을운동을 배워야 한다며 박정희 전 대통령 회고록을 열독하는 등 강한 의지를 보였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정부의 ODA 예산 규모는 2조1000억원에 이른다. 반면 새마을운동 세계화 예산은 95억원에 불과하다. 정재근 안행부 지방행정실장은 “전체 ODA 규모의 0.5%에도 미치지 못하는 금액만으로도 그에 버금가는 효과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출처 - 한국경제
'행정자치부가 말해요 > 행정자치부 소식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주민과 함께 만드는 지방자치, '제 2회 지방자치의 날' 기념식 개최! (0) | 2014.10.29 |
---|---|
공무원연금제도 현장에서 직접 듣겠습니다. (0) | 2014.10.24 |
소방차 길터주기, 안전행정부 장관이 체험해 보았습니다. (0) | 2014.10.17 |
생활 속 안전문제, 이제 안전신문고로 해결하세요! (0) | 2014.10.16 |
"함께 하면 행복합니다", 망설이지 말고 쪽방상담센터를 이용해주세요! (1) | 2014.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