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해요! 지역사랑 크라우드펀딩대회
마을기업을 아시나요? 마을기업은 사회적경제의 한 축으로 지역주민이 각종 지역자원을 활용한 수익사업을 통해 공동의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소득 및 일자리를 창출하여 지역공동체 이익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설립·운영하는 마을단위의 기업입니다.
한 마디로 표현하면, 지역사람들의 재능이나 지역특산물을 이용하여 지역주민들이 힘을 모아, 지역발전에 기여하는마을 공동체 사업을 하는거죠.
▲ 크라우딩 펀딩 대회에 선정된 21개 프로젝트 중 한 곳. 울산 동구 마을기업
행정자치부는 지역 경제와 공동체를 살릴 아이디어를 모집해 크라우드펀딩 방식으로 자금을 지원하는 '함께해요! 지역사랑 크라우드펀딩 대회'를 지난 6월 1일부터 시작했습니다. 전국에서 제안된 100여 개 아이디어 가운데 전문가의 엄정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 21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6월 30일까지 펀딩을 받습니다.
소외계층의 자립을 돌보고 지역 문화·경제를 발전시킬 21개 프로젝트는 펀딩 목표 금액을 정하고, 펀딩 참여자들에게 핸드메이드 제품, 공연 티켓 등 보상품을 제공합니다. 이렇게 목표액을 채운 프로젝트들는 계획대로 지역발전을 위해 추진되구요. 목표액을 채우지 못한 프로젝트는 대회에서 탈락되게 됩니다.
지역사랑 크라우딩 펀딩 대회란?
- 자금수요자가 온라인플랫폼을 통해 불특정 다수인으로부터 필요 자금 모집하는 것
- 새로운 자금조달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는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지역경제 발전 도모, 지역 공공프로젝트에
대한 지역주민의 관심 제고 및 참여를 통해 지역공동체를 활성화하기 위해 개최
▲ 울산기업 노동자들의 작업복을 재활용해 만든 핸드메이드 제품
펀딩대회에 참여한 21개의 마을기업들의 계획을 보면, 깨끗한 마을환경 조성, 지역특산품개발, 사회적 소외계층을 돕기 위한 프로젝트가 주를 이루고 있는데요. 지역발전에 기여할 '지역사랑 크라우드 펀딩대회'에 누구나, 천원부터 희망금액까지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으로 펀딩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1. 와디즈 홈페이지 (www.wadiz.kr)에서 회원가입
2. 검색창 “지역사랑” 입력&주소창에 www.wadiz.kr/ilovecommunity 입력
3. 참여희망 프로젝트 선택후 “결제하기” 버튼 클릭
4. 펀딩참여에 대해 희망하는 보상품 골라서 선택
5. 보상품 받을 주소지와 펀딩 참여 카드정보 입력
▲ 크라우딩 펀딩 보상품 에코팩
지역사랑 크라우드펀딩대회에 참가한 울산의 한 마을기업을 방문해봤는데요. 중공업 기업이 많은 울산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울산노동자들이 입었던 작업복을 재활용해 핸드메이드 제품을 만들고 있었습니다.
마을기업 수다장이 이옥희 대표는 이번 대회 보상품으로 "울산의 상징, 고래를 이용해 쿠션, 에코백, 문종 등을 정성스럽게 준비했다며, 목표모금액을 채워 울산 동구 지역 다문화 여성들의 에코백 제작에 필요한 미싱 교육, 실크스크린 교육, 캘리그래피 교육을 비롯해, 미싱과 원단 부자재도 다문화센터에 기증하고 싶다"는 바람을 전했는데요. 십시일반 힘을 모아 펀딩에 참여함으로써, 지역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 보람있을 것 같습니다.
▲ 크라우딩 펀딩 보상품 쿠션 &고래꼬리 문종
국내 지역공공프로젝트 사례를 보면, 충북 보은 삼가마을 도서관 짓기 마을 프로젝트를 들 수 있는데요. 폐교를 막기 위해 펀딩으로 자금을 모금하여 삼가분교 내 창고를 개조하여 도서관을 건립, 기업의 도서기증 등 협력사업으로 확장시켰습니다.
티끌의 기적! 힘을 모아 지역을 발전시키고, 소외계층을 함께 보듬을 수 있는 프로젝트. 함께해요! 지역사랑크라우딩펀딩대회는 6월 30일까지 펀딩을 받고 있으니까요. 많은 동참 부탁드립니다!
'행정자치부 소셜미디어 기자단 > 소셜미디어 기자단 생생현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을기업 홍보를 위한 MOU, 송소희 홍보대사 위촉식 현장 (0) | 2016.06.13 |
---|---|
지방재정개혁 누구의 의견이 맞는가? 국민이 공감하는 의견으로 해법을 찾아야 (0) | 2016.06.10 |
원본처럼 생생하게~조상땅 '지적원도' 열람가능! (0) | 2016.06.10 |
지방재정개혁 is 뭔들?? 도대체 왜 지방재정개혁이죠?? (0) | 2016.06.10 |
자치단체의 건전한 지방재정 운영과 함께 국민의 관심으로 이뤄낼 지방재정개혁!! (1) | 2016.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