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행정자치부가 말해요/행정자치부 소식통

‘다문화시대’ 외국인 끌어안는 지자체... ‘국내 외국인 200여만명 추산’ 공무원 채용·이벤트 등 확대


외국인 지방공무원 전국 32명... 통번역·정착지원·방범 활동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세계화 추세에 발맞춰 외국인 끌어안기에 적극 나서고 있다. 관광 이벤트와 문화축제에서 공무원 채용에 이르기까지 영역이 매우 다양하다.
 
15일 행정자치부와 지방자치단체들에 따르면 외국인 공무원을 채용하는 자치단체들이 늘고 있다.
 
서울시는 본청에만 현재 5개국 출신 8명의 외국인이 임기제 공무원으로 채용돼 근무 중이다. 외국인다문화과에 중국·몽골·베트남 출신이 각각 1명씩 근무하고 있고, 교통방송(tbs)에서도 미국인 1명과 캐나다인 1명이 영어방송을 담당하고 있다. 국제교류과, 관광사업과, 어린이병원에도 각각 1명씩 채용돼 있다. 시는 현재 외국인다문화과 글로벌다문화센터 운영팀장으로 외국인 채용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경기도 안산시는 2013년 파키스탄 출신의 장 아크람(47)씨와 중국 출신 팡징하오(39)씨 등 2명을 특채해 원곡동 특별순찰대에서 범죄예방 업무 등을 맡도록 했다. 안산에는 전국 240여개 시·군·구 가운데 가장 많은 8만3600여명의 외국인이 살고 있다. 성남시는 최근 한국어에 능통한 일본인 4명과 중국인 5명 등 9명을 남한산성의 가치와 역사를 외국인들에게 안내하는 문화해설사로 투입했다. 

자치단체에 근무하는 외국인 공무원은 현재 15개 시·도에 32명이다. 서울(자치구 포함)이 13명으로 가장 많고 부산·경기가 각각 4명이다. 이들은 국제교류, 외국인 정착지원, 통·번역 업무 등에 종사한다.

외국 관광객을 끌어들이기 위한 이벤트나 축제도 확대하고 있다. 

서울시는 화요일에만 운영하던 외국인 관광객 보신각 타종 체험을 이달부터 주 6일로 늘렸다. 인천시는 지난달 3일 ‘인천-중국의 날 문화축제’의 막을 올렸다. 대구시도 지난달 19일 2016년 대구·경북 방문의 해를 앞두고 중국 유학생들을 초청한 가운데 ‘대구하오(大邱好)의 날’ 행사를 선보였다. 외국인 주민이 2만명에 가까운 제주특별자치도는 영주권 부여를 전제로 한 외국인 투자이민제도를 도입했다.

국내 거주 외국인은 2000년 49만명 수준에서 2014년 말 현재 장기체류(138만명), 단기체류(42만명), 불법체류(21만명)를 합쳐 2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된다. 

광주시 관계자는 “전국 17개 광역단체 중 대전시 등 3곳을 제외한 14개 시·도가 외국인과 다문화가족 전담부서를 경쟁적으로 설치해 운영 중”이라며 “장기적으로 외국인의 국내 정착을 돕고 정책의 일관성을 갖기 위한 이민청 설립도 신중히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