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이 눈을 보호한다 ?
이 속의 진실은 ?
어느날 자녀가 "엄마 나 눈이 아파" 이러면 부모님들은 어떠한 반응을 보이실까요 ?
이 질문의 답은 바로 "안경맞추러 가자" 이겁니다 ! 거의 대부분은 눈이 아프고 조금 안보인다고 하면
다들 안경을 맞추러 가는데요 !
어느 통계에 보면 한국 어린이들의 반은 안경을 소지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올 정도로 어린이의 필수품
이 되었습니다
또한 시력이 조금만 떨어져도 안경을 구입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 아직 의학적으로는 안경이 시
력과 아이 눈 건강에 좋다는 결과는 없다고 하네요 !
그냥 단순히 아이를 보호하는 차원이라고 하는데 오히려 정확한 검사를 하지 않고 안경을 맞추고 착용
하면 눈 건강에 더 나빠질 수 있다고 합니다 !
이런 차원에서 아이들의 눈과 시력, 또한 안경이 안전한 지를 한번 점검해 보는 시간을 가져 보는 게
어떨까요 ?
첫번째 질문, 안경을 쓰면 시력이 좋아진다 ?
답 : 안경과 시력은 상관이 없습니다 !
사람들은 대부분 안경을 쓰면 시력을 보호할 수 있고 더 좋아질 수 있다고 하는데 안경과 시력은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근시는 성인이 될 때까지 계속 진행하기 때문에 안경을 쓴다고 해서 시력이 나빠지는
것을 막을 수는 없지요 !
두번째 질문, 크게 불편하지 않으면 안경은 안써도 된다 ?
답 : 그건 나빠진 원인에 따라서 다릅니다
근시,원시,난시 등 굴절 이상에서 오는 시력저하는 안경 착용 여부와는 상관없이 진행되기 때문에 착용
과는 무관하다는 거죠 !
세번째 질문, 안과는 눈이 불편할 때만 들리는 곳이다 ?
답 : 안과는 정기적으로 들려야 하는 곳입니다 절대 불편할 때만 가는 곳은 아니예요 ! ^^
정기적인 점검은 필수입니다 ~~~`
특히 어린이들은 생후부터 만 8~10세가지는 시력발달이 이루어지는 시기라서 안과 점검이 필수이죠!
이 시기에 정기점검을 놓쳐 눈의 이상을 늦게 발견하면 시력 발달에 장애를 가져와 평생 고칠 수 없는
시력저하라는 결과를 불러올 수 있으니까요
특히 시력이 나쁜 원인 중 하나가 유전이므로 안과질환이 있는 부모는 특히 아이의 눈 관리에 더욱 신
경을 쓰셔야 합니다 ^^
네번째 질문 ! 독서와 컴퓨터가 시력을 나빠지게 한다 ?
답 : 시력은 유전,환경,생활습관 등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는답니다 ~
흔히 아이가 TV를 보고 있으면 눈 나빠진다고 부모님들이 걱정을 많이 하는데요 ! 아이의 생활습관보
다는 TV와 책에 의해 나빠진다고 생각하는데요 ~ 이 부분도 영향은 있지만 100% 있다고는 할 수 없
다고 합니다 ~ 이런 부분과 함께 생활 습관, 유전이 복합적으로 뭉쳐 시력을 저하시킨다고 하는데요
그러니 한 부분에 의해서 시력이 저하되는 건 아니랍니다
TIP: 지금 우리 아이 눈 건강 한번 체크해 보세요 !
아기가 생후 3개월이 지나도 엄마 눈을 잘 못 맞출 때 아기가 생후 2개월 이후 한 눈의 시선이나 초첨이 똑바르지 못할 때 아기의 특정 한쪽 눈을 가리며 심하게 짜증을 낼 때 아기가 걸을 때가 되어도 걷지 못하고 잘 넘어질 때 한쪽 눈을 가린 상태에서 물건을 잘 못보고 떨어진 것을 잘 못볼 때 텔레비전을 앞에서 볼 때 눈을 찌푸리거나 눈을 자주 비빌 때 불빛이나 햇빛을 유난히 못 볼때 눈이 자주 충혈될 때 눈이 가늘게 떨린 때
|
체크해 보았을 때 이상 증세가 많으면 아이를 데리고 안과에 가서 점검을 받는 게 좋습니다 ^^ 너무
늦게 되면 더 나빠질 수 있으니 조심하셔야 하고요 ~
꼭 안경을 써야만 좋아지는 건 아니니! 아이가 눈이 아프다고 해서 안경점에 가서 안경을 맞추기 보다
는 먼저 안과를 가는 게 아이 눈 건강에도 도움이 됩니다 ^^
눈은 굉장히 민감한 부분이기 때문에 조그만 소홀히 하면 나빠질 수 있는 요인들이 굉장히 많으니
조심하셔야 합니다 ~
'행정자치부가 말해요 > 생활 속 안전포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또다시 폭설, 빙판 출근길 악몽 막으려면 ? (3) | 2010.03.10 |
---|---|
공부의 신에게 안전한 환경이 가장 중요한 까닭은 ? (1) | 2010.03.08 |
가족에게는 생활의 중심 ! 아기에겐 위험지대 주방 ? (1) | 2010.02.19 |
지독하게 매서운 추위, 칼바람 이기는 건강관리는? (1) | 2010.02.18 |
겨울철 운동에 숨어있는 육하원칙 찾기 ! (1) | 2010.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