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자치부 소셜미디어 기자단/소셜미디어 기자단 생생현장

마이핀발급체험, "마이핀 발급, 이렇게 간단한 거였어?"

트레블러현 2014. 8. 13. 18:07

 

 

보안이 강화될수록 비밀번호를 만들때 영문,숫자,특수문자를 넣어야 하고, 길이도 길어지고 있습니다.  예전에 발급받았던 아이핀 번호도 기억나지 않는데, 마이핀 제도가 시행되면서, 외울 번호가 더 많아지는 건 아닌가? 걱정 했던 것도 사실인데요. '마이핀번호가 몇 자리수일까?' 우려의 마음을 가지고, 마이핀을 발급받기 위해 동주민센터를 방문했습니다.

 

 

마이핀 발급 방법은 온라인에서 직접 발급 받거나 동주민센터에서 발급 받는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① 온라인에서 발급받을 때는 공인인증서 또는 핸드폰 인증을 통한 본인 확인과정을 거쳐야 하고, ② 동주민센터를 방문할 때에는 신분증을 지참해야 합니다.

 

 

마이핀 발급은 '어디서나 민원' 업무를 보는 창구에서 신청할 수 있는데요. 대기표를 뽑고, 차례가 오기를 기다린 후, 신청서를 받았습니다.

 

<I-PIN 및 마이핀 서비스 신청서>

 

I-PIN 및 마이핀 서비스 신청서에는 ① 신청인 이름, ② 주민등록번호,③ I-PIN 발급 신청인 ID(영문,숫자 혼합), ④ 연락처를 작성하고 ⑤ 신청 날짜와 서명을 하면 되는데요. 신청서 작성후, 신분증과 함께 제출하면 I-PIN, 마이핀 발급 끝!  어렵게만 생각했는데, 상당히 간단하더라구요. 

 

 

물론, 걱정되는 부분도 있었습니다. 바로 아이핀(I-PIN) 비밀번호! '신청서에 비밀번호까지 작성하는건 아닐까?' 생각했는데, 걱정 NO! 동주민센터에서 마이핀 발급시, 초기 비밀번호는 주민등록번호 뒷자리(7자리)로 자동으로 설정되고, 인터넷에서 본인이 비밀번호를 변경해야 하더라구요.

 

<마이핀 발급증>

 

드디어, 13자리로 구성된 마이핀 번호와 바코드가 입력된 '마이핀 발급증을 발급 받았습니다. 종이로 만든 마이핀 카드가 나오니까, 마이핀 번호를 잊어버릴 염려가 없겠더라구요. 유효기간은 3년. 마이핀 번호가 유출되었다면, 연 5회 번호 변경이 가능합니다.

 

마이핀 번호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마이핀 사용 내역을 알려주는 '알리미 서비스를 이용하면 되는데요. 마이핀 발급시, 이메일이나, 휴대폰 등으로 등록을 완료하면, 인증 내역이 전송됩니다. 또한, 공공 I-PIN, 마이핀 스마트폰 알리미 서비스는 앱스토어나 구글 마켓에서 '공공아이핀'을 검색한 후, 설치, 등록하시면 됩니다.

 

 

우려와는 달리, 간단하고 빠르게 마이핀을 발급받고 나니, 오프라인에서 멤버쉽 카드를 발급 발을때, ARS상담 시 본인 확인 할때, 도서관에서 도서 대여 할때, 주민등록번호를 알려줄 필요가 없으니까, 개인정보유출 걱정 끝! 안심이 되더라구요. 우리의 소중한 개인정보! 이제 마이핀 제도로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