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여름은 남부 폭염, 중부 폭우의 극과 극인 날씨가 지속되었죠? 특히, 남부지역은 가뭄현상과 함께, 33도를 웃도는 폭염 현상이 연일 계속되고 있습니다. 폭염이란, 최고기온 33(35)℃이상, 최고 열지수 32(41)℃가 2일 이상 지속되는 기간을 말하는데요. 지구 온난화 등으로 여름철 평균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폭염일수의 빈도와 지역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폭염에는 노인, 어린이, 취약계층의 피해가 큽니다. 2012년 폭염인명피해 상황을 보면, 14명 사망, 984명 온열질환자 발생(’11. 6명, ‘10. 8명 사망)으로 사망사례 86%는 실외에서 발생, 평균나이는 65세 이상, 10명은 육체활동 중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 폭염 피해 사건을 보면, ‘12.7.24(일최고기온 34.7℃) 경북 칠곡군에서 78. 76세 노부부가 환기 구멍과 냉방장치가 없는 참외 비닐하우스에서 오전부터 작업하다가 19시경 호흡·맥박 없이 쓰러진 상태로 발견되었습니다.
폭염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낮 시간대에 활동이 많은 농민·군인·학생‧건설현장 근로자 등에 대한 ‘무더위 휴식시간제’(Heat Break, 14~17시)가 운영되고, 전국에 약 4만개(39,789개)의 무더위 쉼터도 운영됩니다.
주로 경로당‧마을회관‧주민센터‧아동센터‧수련관 등이 지정되어 냉방비 등 운영비가 지원되는 시설로, 이를 통해 노인‧어린이‧취약계층이 여름을 시원하게 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시설입니다.
운영시간 : 월- 금 9:00am - 18:00pm, 주말 제외.
이용료 : 무료
※ 폭염특보 발령시, 야간 & 주말 무더위쉼터 운영 18:00pm - 22:00pm
전국 39,789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무더위 쉼터 중 한 곳인 부산 수영구의 노인복지관을 방문했습니다. 이곳은 1층, 2층 휴게실을 무더위 쉼터로 개방하고 있었습니다.
휴게실로 들어가자, 시원한 에어컨 바람과 함께, 신문, TV, 운동기기 등의 편의 시설이 준비되어 있었습니다. 취약계층의 폭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무더위쉼터에서는 시·군·구 지정 도우미가 수시로 방문, 폭염대비 국민행동요령을 설명하고 건강체크를 실시한다고 하니까, 주위 어른분들께 폭염에는 무더위 쉼터에서 쉬어 가시라고 안내해드리면 좋을 것 같습니다.
폭염대비 국민행동요령
- 12시 - 오후 5시 사이에는 야외활동을 금지하세요.
- 준비없이 물에 들어 가거나 갑자기 찬물로 사워를 하지 마세요(심장마비 위험)
- 선풍기를 창문쪽으로 돌려 환기를 유도하세요(선풍기를 장시간 연속 사용은 자제)
- 늦은 시간의 과다한 운동은 숙면을 방해하므로 자제하고 정신적 긴장감을 줄 수 있는 드라마 시청, 컴퓨터 게임 등을 삼가세요.
- 넉넉하고 가벼운 옷을 입어 자외선을 방지하고 노출부위는 썬크림 등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 피부를 보호하세요.
- 어린아이를 데리고 야외에 나갈 경우에는 두꺼운 담요나 옷으로 감싸지 마세요.
- 거동이 불편한 고령, 독거노인, 신체허약자, 환자 등은 외출을 금지시키고 가족 및 친척․이웃이 수시로 상태를 점검하세요.
※ 직장에서는
- 각종 야외행사를 취소하고 활동을 금지하세요.
- 직원을 대상으로 낮잠시간을 한시적으로 검토하세요.
- 기온이 높은 시간대를 피해 탄력시간근무제를 검토하세요.
- 정상적인 몸상태가 아닌 직원에 대하여는 강제휴가 조치하세요.
※ 학교에서는
- 특히, 초등․중학교에서는 휴교조치를 검토하세요.
- 운동장에서의 체육활동 및 소풍 등 각종 야외활동을 금지하세요.
- 학교 급식시 식중독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재점검하세요.
※ 산업․건설현장에서는
- 현장관리자의 책임하에 공사중지를 신중히 검토하세요.
- 장시간 작업을 피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야간 근무 등 방안을 마련하세요.
- 기온이 최고에 달하는 12시~오후4시 사이에는 되도록 실․내외 작업을 중지하고 휴식을 취하세요.
- 수면부족으로 인한 피로축적으로 감전우려가 있으므로 전기취급을 삼가고 부득이 취급할 경우에는 안전장치를 하세요.
- 특히, 야외에서 작업을 할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빠른 동작을 삼가세요.
- 안전모 및 안전띠 등의 착용에 소홀해지기 쉬우므로 작업시에는 각별히 신경 쓰세요.
※ 어류양식장에서는
- 양식어류에 대해 꾸준히 관찰하고 질병발생 징후 발견시 관계기관에 신고하여 질병발생유무 확인 및 치료 등 조치를 취하세요.
- 사육어의 먹이섭취 행동이나 이상행동을 잘 관찰하고 이상어류는 즉시 제거하세요(질병 전염방지)
- 환수량을 최대한 늘리고 수조내 얼음을 넣어 수온 상승을 억제하세요.
- 사육밀도를 최대한 낮추고 급이량을 줄이세요.
- 습기 또는 직사광선에 의한 사료의 부패에 주의하고 생사료는 산화가 빠르므로 각별히 신경 쓰세요.
※ 농가․축사에서는
- 깨끗한 물을 제공하고 비타민, 광물질을 섞은 사료를 먹이세요.
- 곰팡이가 피거나 오래된 사료는 공급하지 마세요.
- 가축 폐사시는 신속하게 시군구 방역기관에 신고하고 방역기관의 조치에 따르세요.
- 축사 등의 분뇨제거와 건조상태를 유지하세요
- 전기누전과 합선, 과열 등으로 인한 화재발생이 우려되므로 냉방과 환기시는 전기사용량을 수시로 확인하세요.
※ 도로․철로에서
- 도로표면 변형 및 교통사고 방지를 위하여 중차량 등 통행제한 및 살수를 실시하세요.
- 레일온도 상승에 따른 단계별 서행운전․운행중지 및 살수를 실시하세요.
무더운 여름, 올라간 기온만큼 건강도 신경써야 할 때입니다. 폭염에는 무더위쉼터에서 잠시 휴식을 취하시고, 폭염대비 국민행동요령을 기억하셔서, 무더운 여름, 시원하고, 건강하게 보내시기 바랍니다.
'행정자치부 소셜미디어 기자단 > 소셜미디어 기자단 생생현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본인서명확인서' 체험해 보니...정말 편리해요! (23) | 2013.08.09 |
---|---|
여름방학 체험학습은 어디로 갈까? '광나루 서울시민안전체험관' (1) | 2013.08.09 |
국민, 4대악 중 가장 심각한 것은 '성폭력'과 '학교폭력' 꼽아 (0) | 2013.08.08 |
이제 인터넷으로 인감증명서 떼자! 전자본인서명확인서 (5) | 2013.08.08 |
정부3.0 본격화, 신체검사 없이도 운전면허 발급 받는다! (0) | 2013.08.07 |